항목 | 시판되고있는 일반적인 키보드 | |
스위치 방식 | · 신뢰성과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 멤브레인 방식(유접점) 100만회 이하 |
키를 누를때 무게 | · 신뢰성과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 | 모든 키가 약 50 ~ 60g으로 무겁습니다. |
키를 누르는 느낌 | · 매끈한 감촉입니다. 억지로 힘을 줘서 누를 필요가 없고, 하중은 전체 스트로크 내내 자연스럽게 변화합니다. | 움푹 파인 듯한 느낌이라 애매하고 불쾌한 느낌입니다. |
키의 모양 | 고속 입력에 적합한 형태입니다. | 옆에서 본 모양이 모두 같게 되어있는 스텝타입 입니다. |
입력 특성 | · 도중에 멈추어도 이중 입력이 없습니다. | 접점이 접촉하여 스위치가 들어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키를 중간에 멈추면 스위치가 들어가거나 끊어지거나하여 "이중 입력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동시 입력에 대응 | · 동시 눌러도 모두 입력됩니다. | 키를 동시에 누른 경우에는 3 키 이상은 입력되지 않고 무시됩니다. |
입력부의 구조 | · 하중 특성 우선의 간단한 구조입니다. | 바깥 쪽과 안쪽의 더블 돔 구조로되어 있습니다. 내부 반대 돔의 돌출부에서 시트 전극을 누릅니다. 이것이 사용하기 불편한 하중 특성의 원인입니다. |
하중 특성 | · 손에 편한 가벼운 키감. [카카쿠닷컴 제품 어워드 2007 '에서 금상 수상.] | 단시간에 하중이 변화하기 때문에 움푹 파인 듯한 느낌입니다. 입력 후 급격히 하중이 증가하기 때문에 스트로크가 매우 짧게 느껴집니다. |
<번역은 의역을 섞었지만, 일본어 실력 부재로 어색한 부분이 있습니다.>
* 출처: http://www.topre.co.jp/products/comp/key_point.html
(토프레, 리얼포스 제작사, 해피해킹프로와 동일방식)
* 참고: 정전용량무접점은 일본식 표현입니다.
한국어 표현은 전기용량, 혹은 "축전량 인식형 무접점 스위치"로 풀어서 설명이 가능합니다.
금속접점을 가지고 있는 기계식 키보드와는 방식이 다릅니다.
영어로는 Capacitive switch, 키보드로 언급할때는 Capacity keyboard 라고도 부릅니다
* 키트로닉스와 BTC의 정전용량 방식은 절연코팅된 알루미늄 판막을 가동전극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BTC 5100 :: 나에게 편안한 컴팩트 키보드
Read more: http://pinchocodia.tistory.com/485
<토프레 정전용량 작동 이미지>
* molex korea : 정전용량 무접점(Capacitive) 스위치 소개
* DJ.HAN: Capacitive Switch, 혹은 정전용량무접점 스위치에 대해서
* 리얼포스 카탈로그 :
'Keyboard > 키보드의 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ERRY MX-BOARD 3.0(G80-3850) Data sheet, PDF #MX3800 (2) | 2013.09.20 |
---|---|
영화로 배우는 컬러키캡의 중요성, 컬러키캡은 타이프라이터 시절에도 있었다?! (4) | 2013.08.10 |
리얼포스와 멤브레인 키보드의 비교 설명, 토프레 제품 카탈로그 (10) | 2013.07.11 |
오리지날 체리키보드와 사제메이커의 작은 차이점 (스테빌라이저, 회색축, 녹색축, 철심, 구조물) (0) | 2012.08.31 |
오른쪽 Alt와 Shift+Space의 한영전환을 함께 쓰는 방법 (종류1, 종류3, 타입01, 타입03, 한영전환, 한영변환, 겸용 프로그램) (2) | 2012.08.26 |
초콜릿으로 비유하는 체리 MX 스위치 :: Cherry MX Keyboard Switch (2) | 2012.08.13 |
댓글을 달아 주세요
키보드 잘 알아갑니다.ㅋ 이번에 싼거 산다고 PC방키보드에 많이 나가는 걸로 샀더니..ㅠㅠ 키감이..ㅠㅠ
그렇네요..ㅠㅠ
매번 방문 고맙습니다. ^^
키보드는 가격,성능 등 다양하게 고려하시고 구입하시길 권장합니다.
저도 리얼이 백색을 사용하는데 다른 제품을 사용하면 답답할 정도입니다. 특징이 매우 잘 설명되어 있네요. 잘 보고 갑니다. ^^
별말씀을요! 바다야크님 글은 언제나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특히 한영전환에 대해서는 바다야크님을 사랑합니다. *-_-*
http://www.badayak.com/1647
어제와서 슬쩍 보고 갔다가 다시 왔습니다 ㅎㅎ 이게 키감이 단순히 좋다 나쁘다가 아니라 키 누를때 무게까지 나와서 확실한 차이를 알 수 있네요. 새끼손가락 누르는 힘을 배려해 차등버전도 있다하니 ㅋㅋ 알면 알수록 신세계입니다. 구조도 그림으로 보니 알기 쉽구요 ㅎㅎ 여전히 어렵긴 하지만 ㅋㅋㅋ 하나씩 배워갑니다. 좋은 글 항상 감사드려요!!
별말씀을요~!! ㅠㅠㅠ
댓글 사용이 없는 블로그라서, 댓글을 남겨주시는 분들께 깊은 감사를 느낍니다. ^^;;
이론적으로는 금속접점을 쓰는 기계식 키보드보다, 정전용량 키보드에서는 인식 불량율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가끔 키보드 치면, 안눌리거나 두번눌리는 증상이 무접점 방식이라서 없기 때문이죠..
키보드의 세계는 사실 알고보면, 단순합니다. 보편적으로 생소한 것을 알고 있어서인지
머리 속에 키보드만 있다고 오해를 받지만, 사실 키보드는 주변기기가 아니라 생활기기... 아, 아닙니다. [;;;]
어우.. 봐도 뭔말인지 모르겠어요 ㅠㅠ 어서 빨리 스카웃 당하시길(?)바라면서 ^^ 능력자님! ㅎㅎ
어디 괜찮은 헤드헌터라도 찾아야겠습니다. (제가 자격이 될런지는ㅠㅠㅠ)
방문 고맙습니다. 더 노력하겠습니다!!
해피해킹 프로 사용자로서 약간 환상을 깨는 말을 해드리자면...
토프레 스위치 자체의 수명은 거의 반 영구적이라고 봐도 무방하지만...
일반 키보드가 맛탱이가는 기간~ 즉 3~5년 정도로 보았을때
토프레 스위치를 사용한 키보드의 러버돔도 맛탱이가 갑니다.
일단 러버돔이 맛가면 일반 맴브레인 처럼 버티다가 어느순간 쑥! 들어가는
불쾌한 느낌을 주죠...
일반적으로 체리 MX스위치가 서걱거리는 시점은 6개월 정도 걸립니다만
토프레 정전용량의 경우 약 2년간 꾸준한 키감을 보여줍니다.
저에게는 2005년산 해피1과 2006년산 해피2가 있습니다.
해피1의 경우에는 러버돔이 현재 경화된 느낌은 있지만
해피2는 그럭저럭 괜찮네요~ 지금이 2013년인것을 고려하면요^^